국가별 접속 제한 설정
고급 설정-> 보안 기능-> [국가별 접속 제한 메뉴]에 접속하여 국가별 접속 제한 기능을 ON으로 설정합니다.
지정한 국가만 차단
외부 접속 정책을 [지정한 국가만 차단]으로 선택 후 차단하고자 하는 국가를 선택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외부 접속 차단 리스트에 선택한 국가가 추가된 것을 확인합니다.
차단 : Russia, China, North Korea
이후 차단 리스트에 추가된 국가에서 공유기로 접속을 시도하면 차단 카운트로 표시됩니다.
지정한 국가만 허용
외부 접속 정책을 [지정한 국가만 허용]으로 선택 후 허용하고자 하는 국가를 선택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외부 접속 허용 리스트에 추가된 것을 확인합니다.
허용 리스트에 추가된 국가가 아닌 다른 나라에서의 접속을 시도하면 차단 카운트로 표시됩니다.
<참고 1>
접속 허용 IP 주소:국가별 접속 정책과 상관없이 공유기 네트워크 접속을 항상 허용하는 IP주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접속 허용 IP주소 추가
접속 허용 IP리스트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후 해당 IP주소는 접속 정책과 상관없이 접속할 수 있습니다.
'PC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ndinFiles 사용법 (내용 검색할 수 있는 프로그램) (0) | 2021.01.12 |
---|---|
원격 데스크톱 포트 번호 변경 (0) | 2020.12.11 |
Windows Media Player로 음악 CD 추출 및 저장 (0) | 2020.10.07 |
[오류] 원격 데스크톱 연결이 안될 때 해결방법 (0) | 2020.09.22 |
HDD 하드디스크 파일 완전 삭제 Eraser (0) | 2020.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