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폴더 링크 연결 mklink
/D, /H, /J 3가지 종류가 있는데 각각 어떤 특성이 있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하드 링크 (/H) 구형OS | 정션 (/J) 구형OS | 심볼릭 링크 (/D) | |
---|---|---|---|
지원 OS | 윈도우 NT4 이상 | 윈도우 2000 & 윈도우 XP 이상 | 윈도우 비스타 이상 |
스토리지 요구사항 | 동일한 볼륨(드라이브)에 있어야 함 | 로컬 컴퓨터에 있어야 함 | 모든 경로 (로컬 또는 원격) |
탐색기에서 링크를 삭제한 경우 | 연결된 모든 링크가 제거되기 전까지는 유지됨 | 윈도우 비스타 이상 : 변경되지 않음 윈도우 2000, XP, 2003 : 대상 및 하위 폴더가 삭제됨 | 변경되지 않음 |
대상이 이동된 경우 | 유효함 | 무효화됨 | 무효화됨 |
상대 경로 허용 여부 | 해당 없음 | 허용되지 않음 | 허용됨 |
파일 연결 가능 여부 | 가능 | 불가능 | 가능 |
폴더 연결 가능 여부 | 불가능 | 가능 | 가능 |
mklink /d | /h | /j [링크 경로] [원본 경로]
/d : 디렉터리 바로가기
/h : 바로가기 링크 대신 하드 링크 생성
/j : 디렉터리 교차점을 만든다
📌디렉토리 심볼릭링크
> mklink /d "D:\program\edit" "C:\edit"
📌파일 심볼릭링크
> mklink "D:\program\notepad.exe" "C:\notepad.exe"
1. 파일에 대한 심볼릭링크(symbolic link) 생성 방법
하드 링크(Hard Link) 와 달리 데이터의 위치가 아니라 파일을 가르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파일 심볼 링크 : mklink "링크" "원본"
mklink "%USERPROFILE%\\Documents\\note.exe" "%SYSTEMROOT%\\notepad.exe"
2. 폴더에 대한 심볼릭링크(symbolic link) 생성 방법
폴더 심볼 링크 : mklink /d "링크" "원본"
mklink /d "%USERPROFILE%\\Documents\\symlink" "%USERPROFILE%\\Pictures"
3. 파일에 대한 하드링크(hard link) 생성 방법
파일의 실제 데이터가 존재하는 디스크상의 위치를 가르키고 있음을 의미한다.
파일 하드 링크 : mklink /h "링크" "원본"
mklink /h "%USERPROFILE%\\Documents\\note.exe" "%SYSTEMROOT%\\notepad.exe"
4. 폴더에 대한 디렉토리 교차점(directory junction) 생성 방법
정션(Jungtion) 은 디렉토리에서만 해당되는 개념으로 파일에 대한 심볼 링크와 그 개념이 비슷하며 폴더에 대한 심볼 링크와 기능이 거의 동일하다.
폴더 정션 링크 : mklink /j "링크" "원본"
mklink /j "%USERPROFILE%\\Documents\\symlink" "%USERPROFILE%\\Pictures"
/J 디렉토리 교차점 (Directory Junction)
기본적으로 /D 와 차이점은 네트워크 경로를 지원하지 않는다. 또한, 디렉토리 교차점은 한 폴더내에서 같은 위치가 있는 폴더도 생성되지 않는다. 심볼릭 링크에 비해 단점이 매우 많은데, 유일한 장점은 Windows XP 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이며 구형 버전 OS와 호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SSD 용량 심볼릭 링크(mklink)로 해결
- 1) 윈도우 PE CD로 진입
- 2) 부팅 시 [F8] 키를 눌러 [컴퓨터 복구]를 눌러 나오는 화면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
- 3) Windows 상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여 shutdown.exe /r /o 명령어를 입력하여 [복구 모드]로 진입한다음 [문제 해결]-[고급 옵션]에서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
[사용자(Users) 폴더 옮기기]
robocopy C:\\Users D:\\Users /E /COPYALL /XJ
rd /q/s C:\\Users
mklink /D C:\\Users D:\\Users
[Program Files 폴더 옮기기]
robocopy "C:\\Program Files" "D:\\Program Files" /E /COPYALL /XJ
rd /q/s "C:\\Program Files"
mklink /D "C:\\Program Files" "D:\\Program Files"
[Program Files (x86) 폴더 옮기기]
robocopy "C:\\Program Files (x86)" "D:\\Program Files (x86)" /E /COPYALL /XJ
rd /q/s "C:\\Program Files (x86)"
mklink /D "C:\\Program Files (x86)" "D:\\Program Files (x86)"
[ProgramData 폴더 옮기기]
robocopy "C:\\ProgramData" "D:\\ProgramData" /E /COPYALL /XJ
rd /q/s "C:\\ProgramData"
mklink /D "C:\\ProgramData" "D:\\ProgramData"
'PC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 ISO파일에 ‘탑재’ 메뉴가 없을때 해결 방법 (0) | 2022.01.05 |
---|---|
Windows 10 에서 원격 데스크톱 사용하는 방법 (0) | 2022.01.04 |
나에게 맞는 파워용량계산하기 (0) | 2021.06.02 |
유튜브 썸네일 추출기 (0) | 2021.05.31 |
무손실 MOV를 MP4로 변환하는 방법 (0) | 2021.05.27 |